본문 바로가기

창고 쓰레기 보관함

인조대리석보수 싱크대수리






인조대리석보수수리 싱크대보수수리 씽크대보수수리 인덕션쿡탑절단타공 씽크대연마광택 주방구조변경 싱크대 구조개선 씽크대 개조 및 축소 전문



[심하게 타버린 측면 마감/마구리 부분]

제가 이전 후기에서도 많이 말씀드렸던 부분이긴 합니다만, 아직도 모르시는 분이 많은 관계로 다시 한 번 말씀드리겠습니다. 아래에 보이는 가스오븐레인지나 스탠드형 가스레인지는 인조대리석 상판의 총 높이 보다 최소 5센티 이상 올려서 사용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지금처럼 오븐과 싱크대 상판의 높이가 똑같아 버리게 되면 큰 냄비를 가열할 때 뿜어져 나오는 화구의 열이 냄비 바닥을 타고 인조대리석 상판의 측면에까지 전달되기 때문에 이처럼 타버리는 경우가 생깁니다. 따라서 오븐레인지를 인조대리석 상판과 최소 5~10센티 이상 띄우고 사용하시거나 하부에 발판 등을 놓아서 좀 더 높게 올려서 사용하실 것을 권장 드리는 바입니다. 



인조대리석 싱크대 상판 보수 항목 중, 탄자국 복원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무심코 올려놓은 뜨거운 냄비로 인해 인조대리석 상판이 녹아들어 가서 생긴 허옇고 누런 자국을 복원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보통은 연마만으로 충분히 복원이 가능한 경미한 탄자국이 대부분이라 생각하실테지만,


알고 보면 완전히 녹아 들어가 복구가 불가능한 심각한 탄자국이 더 많이 있습니다.


블로그에서 소개된 사례들은 빙산의 일각이며, 심각한 탄자국으로 인해 상판을 교체하신 분도 상당히 많이 계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냄비 탄자국 복원 작업 항목에는 두 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그라인더를 이용한 거친 사포 연마로 복원하는 방법,


두 번째는 눌어붙은 탄자국 부위를 일부 도려낸 후, 동일 자재로 대체 복원하는 방법,




첫 번째 방법은 연마만으로도 충분히 없어지니까 그리 기술이 요구되는 보수 항목은 아닙니다.


하지만, 두 번째 방법인 동일 자재를 이용해 대체 보수하는 작업은 상당한 퀄리티가 요구되는 아주 힘든 작업입니다.




확률은 50대 50


저도 사실 결과를 장담할 수 없는 고난이도 보수 항목 중 하나이기 때문에 확답을 드리진 못하지만,


최선을 다해서 해결해 드리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심각한 탄자국의 경우,


처음에는 무심코 지나치지만, 일정 기간이 경과 후 인조대리석의 수축 팽창 과정이 진행되고 나면 어느 순간 퍽 하는 소리와 함께 박살이 납니다.


깨질 때 그냥 쩍하고 갈라지는 것이 아니라 퍽! 퍽 하고 아주아주 요란하게 갈라진다는 것이 이놈의 특성입니다.^^ 


때문에 이와 관련해서 고객님 스스로가 직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나름 도움말을 준비해봤습니다.



수리하기 전에 찍은 현장 사진을 보시면 싱크대 상판이 있는 뒤쪽 타일 벽면 쪽에 발라 놓은 실리콘이 다 떨어진 채로 밑으로 꺼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왜 이런 현상이 생긴 것인지 감이 오신분 계신가요?^^

개인적으로 저는 처음 고객님의 사진을 받고 나서 문제가 될 만한 몇 가지의 상황을 가정해 봤습니다.

첫째: 인조대리석 상판을 지탱할 하부 보강이 뒤쪽 부분은 없을 것이다.

둘째: 하부 싱크다리가 부러졌거나, 풀려 있을 것이다.

셋째: 개수대 장의 밑판이 물을 먹어 부서지면서 뒤쪽이 내려앉았을 것이다.

그러나 제 예상은 첫 번째를 제외하고 전부 다 다 빗나갔습니다.




드럼세탁기의 오른쪽에 세워져 있는 판넬의 높이가 맞지 않은 것과 드럼세탁기의 안쪽 공간에 보강이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보통 인조대리석 상판 시공 시에 세탁기가 놓여 있는 자리 혹은 식기세척기나 건조기가 놓여 있는 자리는 구조상 하부 보강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일부 시공 업체의 경우에는 시공 전에 미리부터 보강목을 길게 덧대어 놓고 상판을 올립니다. 그런데 솔직히 말해서 보강을 하지 않는 것도 문제지만, 시공 전에 보강목을 미리 고정해서 올리는 것도 문제입니다. 상판 시공 전에 미리 부터 보강을 하려면 현재 설치된 싱크대 하부수납장의 폭을 정확히 맞추던지 그게 아니면 그냥 시공 후에 하는게 낫습니다. 그 이유는 하부 수납장의 힘이 받는 곳에 보강목이 정확하게 걸터지지 않으면 아무런 보강 역할을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현장의 경우도 그와 별반 다를바 없었습니다. 보강목이 대어져 있으면 뭐합니까? 정작 중요한 곳은 다 빼먹고 엉뚱한 곳만 보강을 해놓았으니 말입니다.


특히 드럼세탁기가 놓여 있는 자리는 보강을 하지 않으면 절대 안 되는 곳입니다. 하다못해 측면 타일 벽면에라도 얄부리한 쫄대 하나 붙여서 보강을 해놓았더라면 최소한 이 정도의 상황은 오지 않았을 겁니다. 그러나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뒷면 보강은 물론 세탁기가 있는 측면 역시도 아무것도 대어 있지 않았습니다. 그러니 지가 무슨 힘이 있습니까? 보나마나 당연히 내려앉는 것은 것이죠.

한 마디로 이번 현장과 같은 경우는 "날림 시공"이나 다를 바 없습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스톤매니저 땜질맨 | 권진안 |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병산리 941-1 | 사업자 등록번호 : 132-28-37055 | TEL : 010-3358-3222 | Mail : goldtouch77@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17-화도수동-0016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